>
| 이것 또한 지나가리라 | 운영자 | 2023-04-25 | |||
|
|||||
|
우리나라는 OECD 회원국 중 표준인구 10만 명당 자살자의 수가 압도적으로 1위다. 10대부터 30대까지의 사망 원인 1위가 자살이다. 10대는 입시 스트레스와 가정불화, 20대는 취업난과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, 30대는 이혼 등 가정 문제와 사회적 부적응 등으로 자살한다고 한다. 자살의 원인 중 가장 보편적인 것은 우울장애라고 합니다. 자살한 사람을 상대로 ‘심리적 부검’(Psychological Autopsy)을 하면 75%가 우울장애라고 한다. 전문가들에 의하면 반응성 우울증이 발생하는 대표적인 요인이 대상 상실에서 온다고 한다. 의미 있는 사람이나 의존하는 대상을 상실할 때 온다는 것이다. 자식을 의존하다가 자식을 잃거나, 돈을 의존하다가 돈을 상실하거나, 명예를 의존하다가 명예를 상실하거나, 권력을 의존하다가 갑자기 잃어버릴 때 우울증에 빠진다는 것이다. 사람이 우울해지는 대표적인 원인은 생물학적 요인으로 신경 체계의 이상이 생기는 경우와 심리적 요인으로 부정적인 인지 양식 때문이라고 한다. 생물학적 요인일 경우에는 약물치료로 개선할 수 있고, 심리적 요인일 경우에는 생각을 바꾸므로 개선될 수 있다. 음식만 유효기간이 있는 것이 아니라 감정도, 문제도 다 유효기간이 있다. 슬픔과 걱정도 기쁨과 만족도 다 유효기간이 있다. 파도는 계속 올라가지만 않고, 때가 되면 부서진다. 랜터 윌슨 스미스는 “이 또한 지나가리라”라는 제목의 아름다운 시를 남겼다. 또한 이 경구(警句)는 유대인들이 즐겨 읽는 미드라쉬에 나오는 내용으로 다윗이 보석 세공인에게 승리할 때 교만하지 않고, 절망에 빠졌을 때 이겨낼 수 있는 문구를 넣어 반지를 만들어 달라고 했다. 이때 솔로몬이 말해준 문구가 바로 “이 또한 지나가리라”였다고 한다. |
|||||
댓글 0